🚤 드디어 출발! 8월부터 한강버스 운행 개시…노선·연계버스·따릉이 완전 정리
서울 시민이라면 주목! 드디어 한강버스가 8월부터 정식 운행을 시작합니다.
한강버스는 단순한 유람선이 아닌, 출퇴근 시간에도 활용 가능한 수상 대중교통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
서울시는 한강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연계 버스 노선 신설, 따릉이 대여소 확충, 기후동행카드 연계까지 모두 준비를 마쳤습니다.
🛳 한강버스 노선도 및 주요 선착장
한강버스 노선은 서울 한강을 따라 마곡~잠실까지 동서로 길게 이어지며, 총 7개 선착장을 연결합니다.
-
마곡 선착장
-
망원 선착장
-
여의도 선착장
-
잠원 선착장
-
옥수 선착장
-
뚝섬 선착장
-
잠실 선착장
출퇴근 시간대에는 약 15분 간격으로 한강버스가 정기 운행되며, 이용자 수요에 따라 추가 배차도 검토 중입니다.
🚌 한강버스 연계 버스 노선 총정리
한강버스는 단독 운행이 아닌, 도보 이동 없이도 다른 교통수단과 연계될 수 있도록 철저히 설계되었습니다.
-
마곡 선착장 연계: 6611번 (개화역 ↔ 마곡)
-
망원 선착장 연계:
-
7716번 (신설)
-
마포16번 (노선 조정)
-
8775번 (맞춤형 출퇴근 전용)
-
-
압구정 선착장 연계: 240번, 441번
-
잠실 선착장 연계: 3317번, 3323번
이제 한강버스를 이용해도 복잡한 환승 없이 목적지까지 빠르게 이동 가능합니다.
🚴 따릉이로 한강버스 접근도 OK
서울시는 한강버스 선착장 주변에 따릉이 대여소를 설치했습니다.
-
마곡, 망원, 압구정, 잠실, 뚝섬: 도보 3분 이내 따릉이 거치소 마련
-
여의도, 옥수 선착장: 향후 설치 예정
또한, 한강버스는 자전거 탑재가 가능하여 자전거 이용자들에게도 매우 유용한 이동 수단이 됩니다.
⏱ 한강버스 예상 소요 시간은?
한강버스는 교통 체증 없이 직선 수로를 따라 운항되므로, 이동 속도가 빠릅니다.
-
마곡 ↔ 망원: 약 14분
-
망원 ↔ 여의도: 약 14분
-
여의도 ↔ 잠원: 약 21분
-
잠원 ↔ 옥수: 약 7분
-
옥수 ↔ 뚝섬: 약 13분
-
뚝섬 ↔ 잠실: 약 6분
한강버스는 정시성도 높고, 이동 시간도 짧아 출퇴근 스트레스를 줄여줄 교통수단입니다.
💳 요금 및 기후동행카드 연계 정보
한강버스 요금: 성인 기준 약 3,000원
기후동행카드 통합 이용권 가격:
-
30일권 67,000원 (한강버스 + 버스 + 지하철)
-
30일권 70,000원 (한강버스 + 버스 + 지하철 + 따릉이)
환승할인까지 적용되기 때문에, 한강버스 정기 이용자라면 기후동행카드 활용이 가장 경제적입니다.
✅ 한강버스의 장점 & 주의사항
✔️ 장점
-
정체 없는 수상 교통으로 출퇴근 시간 단축
-
자전거 탑재 가능, 따릉이 연계로 뛰어난 접근성
-
기후동행카드와 연계해 요금 부담 최소화
-
서울 서부~동부 직선 연결 가능
⚠️ 주의사항
-
일부 선착장은 아직 연계 버스 미운영 (도보 이동 필요)
-
한강버스 단독 이용 시 요금 부담 생길 수 있음
-
비바람이 심한 날은 운항 제한 가능성 있음
🌊 서울 교통의 혁신, 한강버스를 지금 만나보세요!
한강을 따라 달리는 수상 대중교통, 한강버스는 단순히 새로운 탈 것이 아닙니다.
시간 절약, 친환경 이동, 다양한 환승 시스템까지 모두 갖춘 서울 교통의 혁신 모델입니다.
📌 한강버스 정류장 지도, 시간표, 예매법이 궁금하신가요?
댓글로 남겨주시면 바로 도와드릴게요 😊
👉 이 글을 저장하고, 한강버스로 한 걸음 더 가까운 서울을 경험해보세요!
0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