📢 전국 일본뇌염 경보 발령! 지금 꼭 확인해야 할 5가지
2025년 8월 1일,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됐습니다.
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일본뇌염 매개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의 개체 수가 급증하며, 전국에 주의보가 확대되고 있습니다.
여름철 건강을 지키기 위해, 일본뇌염에 대해 꼭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을 정리해드립니다.
🦟 일본뇌염 경보란?
일본뇌염 경보는 전국 모기 감시체계에서 아래 조건 중 하나가 충족되면 발령됩니다.
-
작은빨간집모기 비율이 전체의 50% 이상
-
하루 평균 500마리 이상의 모기 채집
-
일본뇌염 바이러스가 검출되었거나, 인체 감염 사례 발생
현재 기준을 충족한 지역이 확인되며, 전국 경보가 발령되었습니다. 모기 활동이 가장 활발한 8~9월이 특히 위험한 시기입니다.
🧠 일본뇌염 바이러스의 증상과 위험성
-
감염 경로: 감염된 모기를 통해 전파 (사람 간 전파 없음)
-
초기 증상: 발열, 두통, 오한, 구토 등 일반 감기와 유사
-
중증 이행 시:
-
뇌염 증상: 고열, 의식 혼미, 경련, 마비
-
치명률 20~30%, 생존자의 절반 이상에서 신경계 후유증 발생
-
-
고위험군: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, 어린이, 야외 활동이 잦은 사람
💉 예방접종 대상자 & 접종 안내
예방접종은 일본뇌염 예방의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.
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
-
만 12세 이하 어린이
(정해진 접종 일정에 따라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 접종)
성인 중 유료접종 권장 대상
-
논밭·축사 등 야외작업자
-
해외 및 일본뇌염 유행지역에서 장기 체류한 사람
-
야간 야외활동이 잦은 일반 성인
👕 개인 위생 및 모기 예방법
일본뇌염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철저한 모기 차단이 중요합니다.
-
야간 외출 자제, 외출 시에는 긴 옷 착용
-
밝고 헐렁한 옷으로 피부 노출 최소화
-
모기 기피제 사용: 얼굴·손·발 등 노출 부위에 골고루
-
방충망 및 모기장 점검
-
집 주변 고인 물 제거: 화분 받침, 배수구, 마당 웅덩이 등
✅ 정리 – 일본뇌염 예방 5포인트 체크리스트
항목 | 체크사항 |
---|---|
경보 발령 여부 | 전국 발령, 특히 8~9월 야간 활동시 주의 |
주요 매개체 | 작은빨간집모기 |
초기 증상 | 감기와 유사하나 뇌염으로 빠르게 진행될 수 있음 |
백신 대상자 | 12세 이하 무료접종, 고위험 성인 유료접종 권고 |
예방법 | 긴 옷, 기피제, 고인 물 제거, 방충망 필수 |
📌 마무리
일본뇌염은 예방접종과 철저한 모기 차단으로 충분히 예방 가능한 질환입니다.
올여름,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위해 지금 바로 예방수칙 실천과 예방접종 확인을 잊지 마세요!
📅 일본뇌염 관련 최신 소식은 본 블로그에서 계속 업데이트됩니다.
즐겨찾기 해두시고 건강 정보 놓치지 마세요!
0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