📘 본문: 비전공자를 위한 IT 기초 상식
현대 사회에서 IT 지식은 이제 전공자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의 필수 상식이 되었습니다. 하지만 비전공자 입장에서는 생소한 용어나 개념 때문에 시작 자체가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IT를 처음 접하는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용어와 개념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1. 컴퓨터의 기본 구조: 하드웨어 vs 소프트웨어
컴퓨터는 크게 **하드웨어(Hardware)**와 **소프트웨어(Software)**로 나눌 수 있습니다.
-
하드웨어: 눈에 보이는 물리적인 장치. 예) 키보드, 모니터, CPU, 메모리, 하드디스크
-
소프트웨어: 하드웨어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. 예) 윈도우, 엑셀, 브라우저, 게임
비전공자가 흔히 헷갈리는 부분 중 하나는 “컴퓨터 = 프로그램”이 아니라,
컴퓨터는 하드웨어이고, 프로그램은 그 안에서 돌아가는 것이라는 점입니다.
2. CPU, RAM, 저장장치의 차이
컴퓨터의 성능을 말할 때 자주 등장하는 용어들입니다.
-
CPU (중앙처리장치): 컴퓨터의 두뇌 역할을 하는 장치. 계산, 연산, 명령 처리 담당
-
RAM (메모리): 작업 중인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. RAM이 많을수록 동시에 여러 작업 가능
-
저장장치: 데이터를 장기 보관하는 공간. 예전엔 HDD, 요즘은 대부분 SSD 사용
📌 비유:
컴퓨터 = 사무실
CPU = 직원
RAM = 책상
SSD/HDD = 캐비닛
3. 운영체제(OS)의 개념
운영체제는 컴퓨터가 켜지자마자 실행되는 기본 프로그램입니다.
대표적인 운영체제로는 다음이 있습니다:
-
Windows (윈도우)
-
macOS (맥OS)
-
Linux (리눅스)
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사용자가 쉽게 쓸 수 있도록 중간에서 도와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.
예: 우리가 마우스를 클릭하면, 운영체제가 CPU에 “이 버튼을 실행하라”는 명령을 보내는 구조입니다.
4. 인터넷과 웹의 차이
-
인터넷: 전 세계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. 연결 그 자체를 의미함
-
웹(Web): 인터넷을 활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서비스 중 하나 (웹사이트, 웹페이지 등)
즉, 인터넷이 도로망이라면, 웹은 그 위를 달리는 차량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.
5. IP 주소와 도메인
-
IP 주소: 컴퓨터의 주소. 예) 192.168.1.1
-
도메인: IP 주소를 사람이 알아보기 쉽게 만든 이름. 예) naver.com, google.com
🌐 우리는 ‘google.com’이라고 입력하지만, 컴퓨터는 실제로 그 뒤에 숨은 IP 주소를 통해 사이트에 접속합니다. 이 역할을 도와주는 것이 DNS 서버입니다.
6. 클라우드의 개념
예전에는 모든 데이터를 내 컴퓨터에 저장했지만, 이제는 인터넷 기반 저장소인 클라우드를 많이 사용합니다.
-
예: 구글 드라이브, 네이버 마이박스, Dropbox
-
장점: 기기와 장소 상관없이 접속 가능, 백업 쉬움
7. 비전공자가 꼭 알아야 할 IT 용어 요약
용어 | 뜻 |
---|---|
OS (운영체제) | 컴퓨터를 작동하게 해주는 기본 프로그램 |
CPU | 컴퓨터의 연산을 담당하는 핵심 장치 |
RAM | 작업 공간 역할을 하는 메모리 |
SSD/HDD |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|
IP 주소 | 컴퓨터의 인터넷상 주소 |
도메인 | IP 주소를 사람이 알아보기 쉽게 만든 이름 |
클라우드 | 인터넷 기반 데이터 저장 공간 |
마무리
IT는 어렵고 복잡하다는 인식이 있지만, 기초 용어와 구조만 이해해도 상당 부분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. 앞으로는 "RAM이 뭐야?", "운영체제는 왜 필요해?" 같은 질문에 당황하지 않고 설명할 수 있게 되셨을 겁니다.
📌 다음 글에서는 비전공자를 위한 코딩 입문 가이드를 다룰 예정입니다.
기초를 다졌다면, 이제는 프로그래밍의 세계로 한 발 더 나아가보세요!
0 댓글